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파이싼
- 1101
- 신경망 학습
- 개발환경
- 그리디 알고리즘
- streamlit
- N-Queen
- 손실함수
- end to end
- Python
- 실버
- BOJ
-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파이썬
- 설정
- pyenv
- 9020
- 1002
- 가상환경
- 경사하강법
- 4948
- 기계학습
- Mac
- n과 m
- 백준
- 백트래킹
- 재귀
- 15649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1)
파이톨치
https://www.acmicpc.net/problem/1011 1011번: Fly me to the Alpha Centauri 우현이는 어린 시절, 지구 외의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들이 살아갈 수 있는 미래가 오리라 믿었다. 그리고 그가 지구라는 세상에 발을 내려 놓은 지 23년이 지난 지금, 세계 최연소 ASNA 우주 비행 www.acmicpc.net 규칙을 찾기 위해서 일단 거리에 따른 최단 거리를 적어보자. 거리 최단 거리로 가는 방법 1 1 2 1, 1 3 1, 1, 1 4 1, 2, 1 5 1, 2, 1, 1 6 1, 2, 2, 1 7 1, 2, 2, 1, 1 8 1, 2, 2, 2, 1 9 1, 2, 3, 2, 1 이런식으로 구성이 된다. 이것만 봐도 간단한 규칙을 찾을 수 있다. 아직 못 ..
import sys def push(X, lst): lst.append(X) def pop(lst): if len(lst) == 0: print(-1) else: print(lst.pop()) def size(lst): print(len(lst)) def empty(lst): if len(lst) == 0: print(1) else: print(0) def top(lst): if len(lst) == 0: print(-1, end ='\n') else: print(lst[-1], end ='\n') def 판독기(lst, str): if str == 'pop': pop(lst) elif str == 'size': size(lst) elif str == 'empty': empty(lst) elif str ..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도 있다. 1/1 은 좌표 (1,1) 1/2는 좌표 (1,2) 2/1은 좌표 (2,1) 사실 이 문제를 풀 때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음에 풀 N-Queen 문제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여 적어 보았다. 본론으로 돌아서, 이 문제의 핵심은 분수의 분자와 분모의 합이 일정하다는 것이다. 1번째 대각선에서는 합이 2, 2번째 대각선에서는 합이 3, 3번째 대각선에서는 합이 4, 이런식으로 진행된다. 또 하나의 문제는 지그재그라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는 test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홀수 번째 줄인지 짝수번째 줄인지 체크를 해 주었다. num = int(input()) test = 1 stack = 1 sum = 0 for i in range(..
문제 내용은 위와 같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접근 방식을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일단 방법을 간단하게 나열해 보았다. 만약 원판의 개수가 1이라면 1 3 과 같은 형식이 된다 원판의 개수가 2라면 1 2 1 3 2 3 이 된다. 원판의 개수가 3이라면 위 그림과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 눈치가 빠른 사람은 벌써 규칙을 찾아 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직 이해가 가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설명을 해보자면 이 문제의 포인트는 맨 아래에 있는 원판을 3번째 탑으로 옮기는 것이다. 또한 이것을 기준으로 위쪽의 개수와 아랫쪽의 개수가 같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 바로 설명을 해보자면, 1. 맨 아래 원판(가장 큰 원판)을 제외한 나머지 원판을 모두 2번째 탑으로 옮긴다. 2. 맨 아래 원판을 3번째 ..
1. 처음엔 간단하게 만들어 보았다. list를 쓰기보다는 dictionary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 보여서 일단 dictionary를 사용하였다. 시간 초과가 걸렸다. input을 사용한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여 input 대신 최근에 알게 된 sys를 사용해 보기로 했다. input보다 빠른 것이 장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이번에도 시간 초과. 그래서 이번엔 구글링을 해서 사람들의 생각을 찾아보았다. 그러던 중 나처럼 이상한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dictionary를 2개 만들어서 사용하는 사람의 코드를 보게 되었다. 그때 아차 싶었다. 간단한 문제를 스스로 복잡하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엔 멋지게 성공하였다. 도서관에서 혼자 속으로 나이스를 외쳤다.